슬로건은 브랜드 정체성과 매력을 단 한 줄로 전달하는 강력한 언어 도구입니다. 이 글에서는 실전 중심의 슬로건 제작법과 예시를 정리합니다.
목차
1. 들어가며
슬로건은 브랜드의 얼굴입니다. 단 한 줄이지만 그 브랜드가 어떤 사람인지, 어떤 철학을 가졌는지, 무엇을 약속하는지 모두 담아내야 하죠.
좋은 슬로건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오래 남고, 제품보다 먼저 브랜드를 기억하게 합니다.
하지만 좋은 슬로건을 만드는 건 생각보다 어렵습니다.
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슬로건을 잘 만들기 위한 실전 가이드와 구성 원칙을 쉽고 실무적으로 풀어드릴게요.
2. 본론 – 슬로건 제작을 위한 실전 가이드
2-1. 슬로건의 역할은 무엇인가
슬로건은 단순한 문장이 아닙니다. 브랜드의 철학과 메시지를 압축한 기억 장치입니다.
✅ 브랜드의 비전과 톤을 담는다
✅ 소비자에게 강력한 인상을 남긴다
✅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점을 제시한다
✅ 제품군이 확장돼도 변하지 않는 메시지를 유지한다
즉, 슬로건은 광고보다 오래 가는 ‘말’이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언어입니다.
2-2. 슬로건 작성 전 반드시 해야 할 질문
슬로건을 쓰기 전에 스스로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.
- 우리 브랜드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?
- 어떤 문제를 해결해주는가?
- 경쟁사와의 차별점은 무엇인가?
- 소비자가 기억했으면 하는 한 줄은 무엇인가?
이 질문에 답하면서 브랜드의 정체성과 소비자의 니즈를 동시에 바라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2-3. 좋은 슬로건의 조건
✅ 간결함: 짧고 명확한 문장이 기억에 남습니다
✅ 감정적 연결: 공감, 유머, 감동 요소가 포함되면 효과적입니다
✅ 리듬감: 반복, 대구, 삼단 구성은 기억에 남는 패턴을 만듭니다
✅ 차별화: 어디서도 본 적 없는, 우리만의 메시지여야 합니다
✅ 활용성: 광고, 영상, 패키지 등 어디에 써도 어색하지 않아야 합니다
예를 들어
“Just Do It”은 나이키의 정신을 간결하게 표현했고, “Think Different”는 애플의 창의성과 혁신을 상징했죠.
2-4. 자주 쓰이는 슬로건 패턴
- 약속형 – “~을 약속합니다”, “~을 지켜드립니다”
예: "약속대로, 이루어지길" (DB손해보험) - 감정 유발형 – 감성적 표현으로 공감을 유도
예: "세상을 바꾸는 시간, 1분" (세바시) - 비유형 – 비유나 상징을 통해 직관적 이미지 전달
예: "건강을 위한 작은 습관" (비타500) - 문답형/질문형 – 독자에게 질문을 던지며 관심 유도
예: "지금, 당신의 브랜드는 무엇을 말하고 있나요?" - 행동 유도형 – ‘하라’, ‘가자’, ‘만나자’ 등 행동을 부추김
예: "바로 지금, 시작하세요"
슬로건을 만들 때는 브랜드에 가장 적합한 톤&스타일을 선택해 이 패턴 중 하나로 문장을 구조화해보면 좋습니다.
2-5. 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팁
✅ 문장을 쓴 후 소리 내어 읽어보세요. 귀에 감기는지, 자연스러운 리듬인지 확인해야 합니다.
✅ 첫 아이디어가 최종일 가능성은 낮습니다. 10개 이상 써보고, 내부 피드백을 받아보는 과정이 중요합니다.
✅ 경쟁사 슬로건을 분석해보세요. 피해야 할 언어, 벤치마킹할 스타일이 보입니다.
✅ 한 문장이 모든 걸 담기 어렵다면 메인 슬로건과 서브 슬로건을 병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3. 마치며
✅ 슬로건은 브랜드의 철학과 감정을 담은 ‘말’입니다.
✅ 짧지만 강한 인상을 주며, 브랜드의 얼굴로 기능합니다.
좋은 슬로건은 한 번 듣고도 기억에 남고, 누가 봐도 ‘이 브랜드의 말’이라고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.
지금 당신의 브랜드는 어떤 말을 준비하고 있나요?
'광고&마케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/B 테스트 제대로 하는 방법 – 광고 성과 비교 실전 가이드 (0) | 2025.04.14 |
---|---|
카피라이팅 잘하는 법 – 설득력을 높이는 고급 스킬 5가지 (1) | 2025.04.11 |
요즘 마케터들이 구독하는 큐레이션 플랫폼 TOP 10 (0) | 2025.04.07 |
UGC(User Generated Content)를 활용한 브랜드 마케팅 전략 (0) | 2025.04.04 |
B2B 마케팅 전략과 B2C 마케팅의 차이점 완벽 이해하기 (0) | 2025.04.03 |